윈도우에 Flutter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
최근에 Flutter 3.10 버전이 나왔습니다.
그래서 윈도우에 Flutter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Flutter 공식 웹사이트에서 Flutter 윈도우용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.
https://docs.flutter.dev/get-started/install/windows
.
설치 파일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풀어줍니다.
저는 Documents 폴더의 flutter 폴더에 압축을 풀었습니다.
.
다음으로 Path를 업데이트 해줍니다.
윈도우 검색창에 env 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‘계정의 환경 변수 편집’ 메뉴가 있습니다.
클릭해서 실행합니다.
.

.
환경 변수 창이 뜨고 위에 있는 부분이 사용자 변수를 저장해 놓는 곳입니다.
변수에 Path 값을 찾아서 편집을 클릭합니다.
.

.
편집 버튼을 클릭하고 flutter 폴더 아래 bin 폴더의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합니다.
.

.
CMD 창을 모두 닫은다음 다시 실행합니다.
그리고 Flutter가 Path에 잘 지정되고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.
.

.
flutter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$ flutter doctor
.

.
다음과 같은 경고 메세지와 에러메세지가 나옵니다.
.

.
Android license status unknown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$ flutter doctor --android-licenses
.

.
Android sdkmanager를 못찾는다고 합니다.
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Android Studio를 실행하고 SDK Manager를 선택합니다.
.

.
SDK Tools 탭을 선택하고
Android SDK Command-line Tools (latest)에 체크 표시를 하고 Apply를 클릭해줍니다.
.

.
다시 커맨드창으로 돌아와서 다음명령어를 실행하고 ‘y’키를 눌러서 라이선스에 동의를 해줍니다.
.


.
다시 ‘flutter doctor’ 명령어를 실행해서 flutter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이 모두 충족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.

.
Visual Studio를 설치해서 ‘Desktop development with C++”를 설치하라고 합니다.
Visual Studio 설치파일을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를 진행합니다.
Download Visual Studio Tools – Install Free for Windows, Mac, Linux (microsoft.com)
설치파일을 실행하면 패키지 선택하는 창이 있는데 여기서 ‘C++를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’을 선택하고 설치버튼을 클릭해줍니다.
.

.
설치가 완료된 후 커맨드창으로 돌아와서 ‘flutter doctor’ 명령어를 실행하면 모든 에러가 해결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.

.
이번에는 Android Studio을 실행해서 애뮬레이터를 만들어 실행해 보겠습니다.
Android Studio을 실행해서 More Actions의 Virtual Device Manager를 선택합니다.
.

.
Create virtual device를 클릭해서 가상 애뮬레이터를 하나 만듭니다.
.

.
원하는 화면의 크기와 해상도의 애뮬레이터를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.
.

.
.

.
Graphics를 Hardware – GLES 2.0 로 선택해서 하드웨어 가속을 받아 실행할 수 있게 설정합니다.
그리고 Finish를 클릭하면 애뮬레이터 생성이 완료됩니다.
.
애뮬레이터 목록에서 실행버튼을 클릭합니다.
.

.
그러면 애뮬레이터가 실행됩니다.
.

.
이번에는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해서 Dart Package 와 Flutter Package 를 설치합니다.
패키지 설치가 완료되면, Visual Studio Code를 모두 종료하고 다시 켜서 Ctrl + Shift + P 키를 눌러서 Command Palette 을 열고 Flutter를 타이핑하고 Flutter: New Project를 선택합니다.
.

.
Application을 선택합니다.
.

.
그러면 폴더를 선택하라고 합니다.
프로젝트를 생성할 폴더의 상위 폴더를 선택합니다.
그리고 다음 화면에서 Project Name을 my_app으로 설정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.
.

.
그러면 my_app이라는 폴더에 Flutter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제 Flutter로 생성된 프로젝트를 애뮬레이터로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.
우선 Android Studio에서 애뮬레이터가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.
그리고 커맨드창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서 Android 애뮬레이터가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.
$ flutter devices
.

.
첫번째 줄에 emulator-5554가 잡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제 커맨드 창에서 프로젝트가 있는 위치로 변경하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서 생성된 Flutter 프로젝트를 애뮬레이터에서 실행합니다.
.
$ flutter run

.
그러면 다음과 같이 안드로이드 애뮬레이터에서 Flutter 프로젝트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.

이렇게 윈도우에 Flutter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따라하다가 막히는 부분이나 궁금한 점 있으시면 아래 댓글로 남겨주세요.
감사합니다. 🙂